# Pianist 이회영
세련된 감각과 탄탄한 연주력을 지닌 피아니스트 이회영은 경희대학교 음악대학을 실기수석으로 입학, 4년간 장학생으로 수학하며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후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며 졸업하였다. 이후 독일로 건너가 프라이부르크 국립음대에서 전문연주자과정과 최고연주자과정을 심사위원 만장일치 최고점수로 입학 및 졸업하며 전문연주자로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일찍이 한국피아노학회 콩쿨에서 대상을 수상하며 음악적 두각을 나타낸 그녀는 대학 재학 중 김 석 교수 동문음악회, 이규영과 함께하는 유망신예음악회와 우수 신인 초청연주회를 예술의전당에서 가졌으며 이회영 피아노 독주회와 앙상블의 밤을 이원문화센터에서 가지며 솔리스트뿐만 아니라 실내악 연주자로 무대 위에서 기량을 펼쳐보였다.
또…
작성자최고관리자
작성일 23-05-03 11:31
조회 92
|
# Recorder 허영진
고음악을 대하는 여러 시각을 접하며 르네상스, 바로크 및 현대음악분야까지 리코더의 영역을 확장하여 새로운 레퍼토리를 탐구하는 리코더 연주자 허영진은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국립음대(Universität Salzburg Mozarteum) 및 동 대학원에서 Dorothee Oberlinger, Matthijs Lunenburg를 사사하며 전문연주자과정을 최고점수로 졸업하였고 대학원 재학 중 런던 왕립음악원(Royal College of Music in London)에서 Ashely Solomon에게 사사받으며 교환학생과정을 이수하였다. 이에 그치지 않고 벨기에 브뤼셀 왕립음악원(Koninklijk Conservatorium Brussel)에서 Javier Zafra에게 사…
작성자최고관리자
작성일 23-05-02 17:04
조회 83
|
# 작곡가 소개
김우진 (제46회 창악회 작곡콩쿨 최우수상)
김우진은 부산대학교 음악학과 작곡전공 4학년에 재학 중이다. 작곡가 백현주, 김동준을 사사하였으며 현재 유도원 교수를 사사하고 있다. 과학적 현상들을 음악적 소재로 치환하여 작곡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작업하고 있으며, 2022 진주 이상근 작곡 콩쿠르 2위 수상 및 Academy X PNU 등에서 작품발표를 하였다. 현재 부산청년 작곡가 모임, Project the bridge, Nolas와 Ensemble Um-san 멤버로서 활동을 하고 있다.
조영미
조영미는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졸업 후 일리노이 주립대학교와 듀크대학교에서 석사와 박사과정을 마쳤다. 서울국제컴퓨터음악제, 여성작곡가회 정기연주회, ACL-Korea국제음악제,…
작성자최고관리자
작성일 23-05-02 14:33
조회 76
|
# Composer 정영빈
작곡가 정영빈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및 동대학원(MA, DMA)과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국립음대(Universität Mozarteum Salzburg)를 졸업하였다.
그는 창악회 작곡콩쿠르 우수상을 필두로 중앙음악콩쿠르 작곡부문 1위 없는 2위(33-34회), 아시아작곡가연맹 신인음악콩쿠르 대상 등을 수상하였고, 이태리 비오티국제작곡콩쿠르 2위, 일본 동경실내악국제작곡콩쿠르 3위, 2009-ACMF 3위로 국제무대에서 입상한 바 있다.
그의 작품은 통영국제음악제를 비롯한 서울, 홍콩, 일본,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독일 등에서 TIMF Ensemble, Ensemble Frankfurt Interface, Ensemble Phoenix, MAM. Manuf…
작성자최고관리자
작성일 23-05-02 11:21
조회 66
|
# Pianist 박수정
섬세한 표현력과 다채로운 음색으로 깊이 있는 연주를 선사하는 피아니스트 박수정은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를 거쳐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영재 입학 및 졸업하였다. 이후 도영하여 영국 왕립음악원(Royal Academy of Music)에서 석사과정(Master of Arts)과 미국 콜번 콘서바토리(Colburn Conservatory of Music)에서 전문연주자과정(Artist Diploma)을 모두 전액 장학생으로 졸업하며 전문연주자로서의 탄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뿐만 아니라 귀국 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서 Teaching Assistant로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박사학위 논문 “벨러 버르토크(Béla Bartók)의《두 대의 피아노와 타악기를 위한 소나타》(Sonata f…
작성자최고관리자
작성일 23-05-02 10:41
조회 67
|
# Pianist 최예인
* 성신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박사 졸업
* 미국 맨하탄 음악대학(Manhattan School of Music) 석사(Master) 및 전문연주자과정 (Professional Studies)졸업
* 인터내셔널피아노콩쿨 1위없는 2위, 음악교육신문사콩쿨 입상, 수원대학교음악콩쿨 3위, 협성대학교음악콩쿨 입상, 2017 International Shining Star 1st Prize,
2019 ASIA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Solo 부분 등 다수 콩쿨 상위 입상
* 2017 New York Concerti Sinfonietta Debut Audition 발탁
* 성신소사이어티 연주회, 맨하탄 음대 동문연주회, 더울…
작성자최고관리자
작성일 23-04-28 10:28
조회 76
|
“한지민의 새로운 항로”
피아니스트 한지민은 유학생활 후 귀국하여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연주자이다.
일반적인 관점의 독주회/리사이틀은 ‘본인이 잘 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신고식’의 개념이 전통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바 한지민은 그런 고정관념에서 탈피하기를 원한다.
이번 리사이틀이 특별한 점은:
1. 세계초연곡이 연주된다. 한지민은 재미작곡가 박희정에게 ‘새야새야 파랑새야’를 주제로 한 “꼬마 파랑새 조곡 The Little Blue Bird Dance Suite”을 위촉하고 이를 세계초연 한다. 이 작품에는 타악기가 첨가되어 새로운 장르의 피아노 작품이 생성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2. 두 곡의 한국초연곡이 연주된다.
중국 출신의 세계적인 작곡가인 드칭 웬(Deqing Wen)(…
작성자최고관리자
작성일 23-04-25 14:10
조회 78
|
■ 단체소개 ‘The K’ - ‘The Flutes’ + ‘Kindle the Future music’
앙상블 ‘The K’는 오케스트라 악기 중 유일하게 각각의 성부 악기를 따로 가진 ‘플루트’를 중심으로 연구 및 활동을 이어가는 단체이다.
‘The K’는 2011년부터 김현숙 교수님(현 음악감독)을 필두로 세계 각국의 유명 사학에서 공부를 마친 플루티스트들과 단일 악기만으로 오케스트라의 형식을 충분히 만들어 낼 수 있는 ‘Flute’만의 잠재력을 함께 키워왔다.
2016년 뉴욕 카네기 홀 연주회와 2017년 하와이대 현지 초청 연주회를 통해 해외 관객들에게 호소력 짙은 음악을 선보였다는 평을 얻으며 글로벌 앙상블 그룹으로 성장했다. 작년부터 ‘The K’는 ‘대중 공감 프로젝트’를 새롭게…
작성자최고관리자
작성일 23-04-24 14:57
조회 94
|
# 디나미스 앙상블(Dynamis Ensemble)
국내외에서 정상의 음악교육을 받고, 활발한 연주 활동과 더불어 현재 대학에서 왕성한 열정으로 후학을 양성하고 있는 연주자들이 모인 Dynamis Ensemble은 정통 클래식 공연에 열중하면서도, 클래식 음악회는 어렵다는 고정관념을 깨기 위해 무대와 관객사이의 벽을 무너뜨리고자 대중들과도 많은 만남을 가져왔습니다. 특히 예술의전당이나 세종문화회관 등 전문 음악공연장에서만이 아니라 하우스콘서트, 국내 유수의 음악감상실, 갤러리, 박물관 등지에서도 지속적이고 활발한 활동을 펼침으로써 청중에게 좀 더 가깝게 다가가 함께 교감하며 그들만의 공감 형성을 이루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 프로필
Violinist 김대환
바이올리니스트 김대환은 예원학교와 서…
작성자최고관리자
작성일 23-04-24 10:28
조회 86
|
# 출연진
소프라노 / 윤정난
바이올린 / 김은지, 이해니
비올라 / 장은경
첼로 / 강기한, 김인하, 윤소정, 장혜리, 전규민, 한동연, 홍승아, 홍채원
더블베이스 / 유이삭
피아노 / 배필호, 이윤희, 주수진, 주진서
# 프로그램
F. Schubert ... Piano Quintet in A Major, D. 667, “Die Forelle”
* Vn. 이해니 Va. 장은경 Vc. 홍채원 Db. 유이삭 Pf. 이윤희
A. Borodin ... Polovtsian Dances: from Prince Igor for Four Hands Piano
* Pf. 주진서, 주수진
D. Shostakovich ... Piano Trio No. 2 in e minor, Op. 67
*…
작성자최고관리자
작성일 23-04-21 14:40
조회 96
|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현악4중주단 콰르텟21은 91년 창단 이후, 2023년 현재까지 창단 30주년 기념콘서트를 비롯하여 58회에 이르는 정기연주회로 국내무대는 물론, 독일, 일본에서의 초청연주와 ‘대한민국 정부 문화사절’로 위촉되어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등의 서남아시아 순회연주를 가진 바 있다.
서울특별시 지정 전문예술단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올해의 예술상, 대한민국 문화예술상(대통령상), 대원음악상 연주상 등을 수상하여 명실공히 국내 최고의 현악4중주 단체로 인정받고 있으며, 베토벤의 현악4중주 전곡, 브람스 현악4중주 전곡시리즈 등 콰르텟21만의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겨가고 있다.
콰르텟21의 이번 59회 정기연주회는 오스트리아 작곡가 J. Haydn의 , 체코 작곡가 A. Dvoř…
작성자최고관리자
작성일 23-04-21 12:53
조회 83
|
# Flutist 김상애
세련된 감각과 깊이 있는 음악성으로 주목받고 있는 플루티스트 김상애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을 졸업 후 미국 피바디 콘서바토리(Peabody Conservatory) 석사 및 연주자과정 졸업과 미국 보스턴 음대(Boston University) 박사과정을 수료하며 전문연주자로서의 탄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일찍이 TBC 대구방송 음악콩쿨 2위를 시작으로 이화·경향 음악콩쿨 1위, 부산 MBC 음악콩쿨 2위, Osaka International Music Competition 1위 및 청중상, Mid - Atlantic Music Competition 1위, Baltimore Music Club Competition 1위, COFA Ohio Flute Competition 3위…
작성자최고관리자
작성일 23-04-21 11:39
조회 71
|
# Profile
Soprano 윤명자
* 이화여자대학교 성악과 및 동대학원 졸업
* 독일 Köln 국립음대 성악과 및 최고연주자과정(Konzertexamen) 졸업
* 한국, 독일, 미국에서 독창회 30여회
* 미국 UC Santa Barbara 음대, Cincinnati 음대 초청교수 역임
* 한국독일가곡연구회, 프랑스가곡연구회, 바로크와 현대가곡 연구회,
우리가곡 연구회, 이화성악회 회장 역임
* 현) 이화여자대학교 성악과 교수
Soprano 박지영
* 이화여자대학교 성악과 및 동대학원 졸업
* 미국 Temple University 성악과 및 오페라과 석사 졸업
* 미국 Temple University 성악과 박사 졸업
* ClaMuze Competition 입상
…
작성자최고관리자
작성일 23-04-20 10:49
조회 123
|
# Guitarist 김윤호
기타리스트 김윤호는 입체적 색채감과 기교, 합리적인 연주법 등이 돋보이는 연주자로,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이자 아시아계로는 두 번째로 거장 Joaquin Clerch의 클래스에서 수학하였다.
창원 출생으로 15세에 기타리스트 김경훈을 사사하며 그 첫걸음을 시작하였고, 이후 서울예술고등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기타리스트 이성우를 사사하였다. 대학시절 곧바로 리브라 기타 콰르텟에 합류하여 앙상블리스트로서 활동을 병행하며, 금호클래식스에서 음반을 발매함과 더불어 호주 다윈 국제기타페스티벌 및 일본, 중국 등 다수의 국제페스티벌에서 초청 연주회를 가지며 수많은 연주 무대를 통해 폭넓은 음악을 선보였다. 이후 독일 뒤셀도르프 국립음대에서 Joaquin Clerch에게 석사과정과 Ko…
작성자최고관리자
작성일 23-04-17 10:33
조회 75
|
# Eco Project 지구와 인간 Ⅲ "두드리라 그러면 들릴 것이다"
아카데미 열정과 나눔(대표/예술감독)은 지난 2019년부터 3년간 “상실과 회복”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인간의 상실된 가치를 음악이라는 수단을 통해 어떻게 회복시킬 것인가를 생각하며 인문학과 함께한 음악회를 기획해 진행시켜 왔다. 그 결과 청중의 깊은 감동과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역사에 기반을 둔 인문학과 융합된 새로운 음악회의 형식을 공연예술계에 제시했다. 2020년 이후 전 세계를 휩쓴 COVID-19 시기를 지내며 ‘왜? 인간은 이 신종질병에 속수무책 할 수밖에 없는가?’란 질문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얻은 결론은 20C 이후 화석연료 사용과 무분별한 자연 생태계 파괴로 인한 지구의 환경오염에서 온 비극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작성자최고관리자
작성일 23-04-12 13:42
조회 133
|